목록변수 (7)
Frontend 개발자 - hyo.loui
❤️🔥TIL : Today I Learned parameter와 argument의 차이 Parameter : 매개변수, Argument : 인자, 둘 다 변수의 한 종류이다. Parameter (매개 변수)란? - 함수 선언의 일부로 나열되는 변수이며, 호출될 때 함수에 전달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값을 나타낸다. Argument (인수)란? - 호출될 때 함수에 전달되는 실제 값 이다. 예시 function plus(x, y)에서 x와 y는 매개변수 이다. plus(2, 3)으로 호출되면 2와 3은 함수에 전달되는 인수이다. - 함수가 선언될 때 괄호 안에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포함 할 수 있다. -매개변수는 호출 시 함수에 전달되는 값에 대한 자리 표시자 역할을 한다 최종 정리 Prameter는 함..
❤️🔥TIL : Today I Learned Hoisting / TDZ 호이스팅과 TDZ 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변수에 집중하여 설명합니다. 호이스팅 이란? var, let const, function, class 키워드를 사용해서 선언하는 모든 식별자는 호이스팅 된다. 왜냐하면, 선언문은 실행하기(런타임) 이전에 먼저 소스코드의 평가과정(컴파일)을 거치면서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때문에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호이스팅 이라고 한다. TDZ 란? Temporal Dead Zone의 약자로 변수가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되었지만 아직 초기화 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동작이며, 이 시간동안 변수에 접근하면 ReferenceErr..

❤️🔥TIL : Today I Learned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 변수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다룬다. 아무리 복잡해도 데이터를 입력(input)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output)하는 것이 전부다.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 메모리(memory)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셀의 집합체다. 1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save)하거나 읽어(read) 들인다. 각 셀은 그림의 왼쪽에 보이는 것 처럼 메모리 주소를 갖는다. 메모리 공간의 위치를 나타낸다. 컴퓨터는 모든 ..

🎯목적 : TS Type Alias (타입 별칭), 정리 및 복습 1. Type Alias ? 타입을 미리 객체의 형태로 선언해 둔 후 필요한 곳에서 별칭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Type Alias type Hero = { name: string; power: number; height: number; gender: "남" | "여"; }; Hero 라는 타입의 별칭! 2. 타입 별칭의 형태 // Type Alias type Hero = { name: string; power: number; height: number; gender: "남" | "여"; }; 3. 타입 별칭의 적용 const hero1: Hero = { name: "슈퍼맨", power: 100, height: 100, gen..
❤️🔥TIL : Today I Learned 최댓값 찾기 Q. 다음과 같이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이 배열 내에서 가장 큰 수를 반환하시오. [3, 5, 6, 1, 2, 4] def find_max_num(array): # 이 부분을 채워보세요! return 1 # case.1 print("정답 = 6 / 현재 풀이 값 = ", find_max_num([3, 5, 6, 1, 2, 4])) # case.2 print("정답 = 6 / 현재 풀이 값 = ", find_max_num([6, 6, 6])) # case.3 print("정답 = 1888 / 현재 풀이 값 = ", find_max_num([6, 9, 2, 7, 1888])) 나의 풀이 array를 sort() 함수로 순서대로 정리 ar..
❤️🔥TIL : Today I Learned 변수 선언과 자료형 변수 ( variable ) 선언 파이썬에서 새 변수를 만들 때는 변수이름 = 값 의 형태로 씁니다. 변수는 '값'을 가리키는 것'! 변수는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a = 3 # 3을 a에 넣는다. print(a) b = a # a에 들어 있는 값인 3을 b에 넣는다. print(b) a = 5 # a에 5라는 새로운 값을 넣는다. print(a, b) # 5 3 그런데, 여기서 c 의 값은 어떻게 나올까? a = 3 b = a c = b a = 5 b = 4 print(c) 답은 3이다! 왜냐하면 변수를 대입하는 과정은 우리가 자주 하는 '복사' + '붙여넣기' 과정과 비슷하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a = 5 ,..
❤️🔥TIL : Today I Learned 자 이번에도 라면이다.. 내 인생.... 라면..... 수돗물에게 '맛있는물' 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라면국물에게 '라국' 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맛있는물' + '라국' 이게 되나? 된다! 같은 액체라서 둘은 섞인다! 하지만, 냄비에게 '라면전용냄비' 이름을 붙여준다 '맛있는물' + '라면전용냄비' 이건 안된다 물은 액체이고, 냄비는 고체이다 둘은 성질이 달라서 안섞인다! 내가 이름을 붙인건 '변수'를 설명하기 위함 이고 섞었는데 안되는건 '타입' 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이해 하면 된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는 컴퓨터에게 하나부터 열까지 설명하고 가르쳐야 하기 때문... 세상의 이치라고 편~하게 받아들이자 변수 (variable) 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