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script (36)
Frontend 개발자 - hyo.loui

❤️🔥TIL : Today I Learned indexOf / findIndex 알고리즘 문제를 풀며 제가 문제를 푼 방식은 findIndex 였지만, 다른 문제풀이 방식에서 indexOf 로 푼 해답을 보고 차이점이 궁굼해서 공부하며 TIL을 작성합니다. 배열 메서드인 indexOf와 고차함수인 findIndex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아래 설명하는 메서드는 배열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Array.prototype.indexOf() arr.indexOf(searchElement[, fromIndex]) - indexOf() 메서드는 배열에서 지정된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1을 반환합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며 많이 사용하는 indexOf는 배열의 인자를 콕..

❤️🔥TIL : Today I Learned 순수 함수 순수 함수를 설명하고, 불변성과 사이드 이펙트를 부가적으로 설명합니다. 순수 함수란? 자바스크립트에서 순수함수(Pure Function)는 입력값에 대해 항상 동일한 결과값을 반환하고, 함수 내부에서 외부에 영향을 주는 부작용(Side Effect)이 없는 함수를 말합니다. 즉, 함수의 실행에 어떤 외부 환경도 영향을 주지 않으며, 실행 결과도 항상 일정합니다. + 순수함수의 특징은 불변성(Immutability)과 사이드 이펙트 부재(Side Effect-Free)가 있습니다. 불변성 (immutability) - 순수함수는 입력이나 함수 내부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에는 함수 내부의 값들이 변하지 않고, 입력으로 받은 ..

❤️🔥TIL : Today I Learned require와 import의 차이점, 배열, 객체를 const로 선언 후 요소나 속성을 추가할 수 있는 이유 .require와 import의 차이점과 상황 예시 require: CommonJS 키워드. NodeJS가 채택 CommonJS: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활동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조직된 그룹 module.exports 객체에 모듈 전체를 내보내고 require 를 통해 모듈을 불러오는 방식 → 불필요한 모듈 로드 가능성 require : 가져오기 exports : 내보내기 module.exports : 내보내기 import: ES6 키워드 import : 가져오기 export : 내보내기 export defaults : 내보내기 파일 시작 부분에서만 ..

❤️🔥TIL : Today I Learned 모듈 모듈을 설명하고 추가 지식을 공유합니다. 모듈의 일반적 의미 - 모듈이란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개별적 요소로서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을 말한다. - 모듈이 성립하려면 자신만의 파일 스코프(모듈 스코프)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전역 X - 기본적으로 비공개 상태이다. 파일 스코프를 갖는 모듈의 모든 자산은 캡슐화 되어 다른 모듈에서 접근할 수 없다. 즉, 모듈은 개별적으로 존재하여 애플리케이션과 분리되어 존재한다. - 하지만,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모듈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존재 의미가 없다. 모듈은 재사용되어야 의미가 있다. 모듈은 공개가 필요한 자산에 한정하여 명시적으로 선택적 공개가 가능하다. 이를 export라 한다. 모듈 사용자는 모듈이 공..

❤️🔥TIL : Today I Learned 에러 처리 에러 처리의 필요성 에러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한 에러에 대해 대처하지 않고 방치하면 프로그램은 강제 종료된다. 에러 처리의 필요성 console.log('[Start]'); foo(); // ReferceError : foo is not defined // 발생한 에러를 방치하면 프로그램은 강제 종료된다. console.log('[End]'); 위 예시 코드에서 [End] 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이 프로젝트에서 발생한다면... 끔찍하다. - try...catch console.log('[Start]'); try { foo(); } catch (error) { console.log('[에러 발생]', error); // [에러 발..

❤️🔥TIL : Today I Learned this this가 동작하는 원리와 용법을 설명하고, 어떤 부분에서 가장 큰 차이가 생기는지 비교합니다. this란? -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다.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 this가 가리키는 값, 즉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this 바인딩 - 바인딩이란 식별자와 값을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변수 선언은 변수 이름(식별자)과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바인딩 하는 것이다. this 바인딩은 this(키워드로 분류되지만 식별자 역할을 한다)와 this가 가리킬 객체를 바인딩 하는 것이다. ..

❤️🔥TIL : Today I Learned AJAX Ajax !== "아작스" Ajax == "에이잭스" JSON !== "제이썬" JSON == "제이슨" Ajax 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가 응답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갱신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을 말한다. + 특정 기술이 아니고, 새로운 접근법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Web API인 XMLHttpRequest 객체를 기반으로 동작 + 이러한 비동기 방식으로 웹의 페러다임이 획기적으로 변했다고 할 수 있다. 기존 전통적인 방식은 html태그로 시작하여 html태그로 끝나는 완전한 html을 response 받아 처음부터 다시 렌더링하는 방식으로 동작했..

❤️🔥TIL : Today I Learned DOM DOM (Document Object Model )은 HTML 문서의 계층적 구조와 정보를 표현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API, 즉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제공하는 트리 자료구조다. 1. 노드 - HTML요소와 노드 객체 HTML 요소는 렌더링 엔진에 의해 파싱되어 DOM을 구성하는 요소 노드 객체로 변환된다. 이때 HTML 요소의 어트리뷰트는 노드로, HTML 요소의 텍스트 콘텐츠는 텍스트 노드로 변환된다. HTML 문서는 위와 같은 요소들의 집합으로 이뤄지며, 요소 간에는 중첩 관계에 의해 계층적인 부자(부모)관계가 형성 된다. 이러한 관계를 반영하여 모든 노드 객체들을 트리 자료구조로 구성하며 이것을 DOM 또는 DOM 트리라고 한다. 최상위의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