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함수
- Firebase
- NEXT
- 부트캠프
- native
- JavaScript
- K-Digital
- 프론트엔드
- 알고리즘
- 에러
- 내일배움
- 개발자
- PROJECT
- Redux
- type
- wil
- 리액트
- react
- 코딩
- 타입
- API
- 타스
- rn
- 변수
- trainning
- JS
- 내일배움캠프
- 온라인
- 자바스크립트
- 프로젝트
Archives
- Today
- Total
Frontend 개발자 - hyo.loui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연결 방법? 본문
눈에 보여지는 '프론트엔드'
UI 부분, 그래 식당으로 말하자면
식당 외부,내부 (인테리어)
그리고 '백엔드'
내가 주문한 요리를 레시피에 맞게
요리하고 가져다 주는 것처럼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식당의 핵심 서비스 라는것도 알겠어
근데 이게 어떻게 연결이 되는걸까?
우선 두개로 분리를 해보자면
'(POST 요청)'요리 주문 와
'(GET 요청)주문 목록'
이 있어
(POST 요청)은 요리 주문(생성, 수정, 삭제) 할 수 있고
(GET 요청)은 주문 목록을 보기만 할 뿐
요리 주문을 못하지..
1. POST 요청
'POST 주문' 버튼을 누르게 되면 JSON(메뉴판) 문법에 맞는
주문이 들어가게 되면서 AJAX 요청을 하게돼!
(소스는 얼마나, 굽기는 어떻게 등등)
이후에는 서버(python : 직원)이
'Database'에 저장을 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주방에서 잘 알아듣고 '주문 완료' 라고 전달하지 (안해도 되고)
그렇게 되면 이후 GET 요청을 할 때에도 같이 포함 되어 보여지는거야!
2. GET 요청
'GET 요청' 주문이 생성되면 직원이 잘 저장해 두었던
Database 를 꺼내서 지금까지 이렇게 주문이 되었습니다!
하고 보여주는거지~
손님은 '보여주세요' 라고 요청만 하기 때문에
별도로 필요한 데이터가 없지만,
직원(서버)는 DB에 저장되어있는
전체 주문 목록을 잘 가져와야해
그치만 JSON(메뉴판) 형식 그대로
손님들에게 보여줄 수 없으니
우리가 잘 해석(DOC문서 형식)해서 보여줘야
손님들도 편하게 볼 수 있지!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문법(2/2) - 조건문, 반복문, 함수 (2) | 2022.11.11 |
---|---|
파이썬 기초 문법(1/2) - 변수, 문자열, 리스트, 딕셔너리 (2) | 2022.11.10 |
파이썬으로 라면 만들기? (0) | 2022.11.06 |
파이썬 'Python' 이 뭐길래... (0) | 2022.11.06 |
식당 이야기 - 눈에도 안보이는 '백엔드' 가 뭐냐고? (0) | 2022.11.06 |